[Django] 프로젝트 설정 파일 변경
1. ALLOWED_HOSTS
장고는 DEBUG=True면 개발 모드, False면 운영 모드로 인식합니다.
운영 모드인 경우는 ALLOWED_HOSTS에 반드시 서버의 IP나 도메인을 지정해야 하고, 개발모드인 경우에는 값을 지정하지 않아도 ['localhost', '127.0.0.1']로 간주합니다.
2. INSTALLED_APPS
프로젝트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모두 설정 파일에 등록되어야 합니다.
INSTALLED_APPS = [
'django.contrib.admin',
'django.contrib.auth',
'django.contrib.contenttypes',
'django.contrib.sessions',
'django.contrib.messages',
'django.contrib.staticfiles',
'bookmark_service.apps.BookmarkServiceConfig',
]
간단하게 앱의 모듈명인 book_service만 등록해도 되지만 앱의 설정 클래스로 등록하는 것이 더 정확한 방법입니다. bookmark_service 앱의 설정 클래스는 bookmark_service 폴더 하위에 위치한 apps.py파일에 BookmarkServiceConfig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. 따라서 모듈 경로까지 포함하여 작성해주도록 합니다.
3. DATABASES
장고는 디폴트로 SQLite3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다른 데이터베이스로 변경하고 싶다면 수정합니다.
DATABASES = {
'default': {
'ENGINE': 'django.db.backends.sqlite3',
'NAME': BASE_DIR / 'db.sqlite3',
}
}
4. TIMEZONE
타임존을 지정합니다. 디폴트로 세계표준시(UTC)로 되어 있는데 한국 시간으로 변경합니다.
TIME_ZONE = 'Asia/Seoul'
5. TEMPLATES
DIRS 항목은 프로젝트 템플릿 파일이 위치할 디렉터리를 지정합니다.
6. STATIC_URL 과 STATICFILES_DIRS
STATICFILES_DIRS 항목은 프로젝트 정적 파일이 위치할 디렉터리를 의미하는데, 개발자가 직접 지정합니다.
7. MEDIA_URL와 MEDIA_ROOT
미디어 관련 사항입니다. 파일 업로드 기능을 개발할 때 필요한 설정입니다.
8. 이 외에
USE_TZ=False 로 지정하면 DB에 저장되는 시간도 UTC가 아니라 한국 시간으로 저장됩니다.
LANGUAGE_CODE = 'ko-kr'로 지정하면 Admin 사이트 화면의 메뉴 및 설명 등이 한글로 표시됩니다. 이 설정은 날짜, 시간 등의 표현이 달라지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