✅ 증권
○ 증시 = 증권시장
○ 증권 : 어떤 증거가 되는 문서나 서류 (증권은 보통 유가 증권을 이야기 합니다.)
○ 유가 증권 : 가치가 있는 무언가를 증명하는 종이
✅ 유가증권의 종류
1. 화폐 증권
ex) 지폐(한국은행권), 상품권, 수표, 쿠폰, ...
-> 지폐(한국은행권)은 내가 한국은행에 천원, 오천원, 만원에 대한 소유권이 있다! 라는 것을 증명하는 종이입니다.
2. 상품 증권: 어떤 물권의 권리를 명시한 증권
3. 자본 증권 (이 포스팅에서는 자본 증권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)
ex) 채권, 주식
✅ 자본 증권의 종류
○ 자본 증권에는 채권, 주식, 수익증권, 선물옵션, ... 이 있습니다.
○ 이러한 자본 증권을 거래하는 시장을 "증권시장"이라고 합니다.
- 증권 시장안에 주식 시장이 포함됩니다.
✅ 채권
○ 채권 = 얼마? 언제? 이자? 등이 적혀 있는 빚문서
○ 정부, 지방정부, 은행, 회사 등에서 발행합니다.
- 정부, 지방정부 : 국채
- 은행 : 은행채
- 회사 : 회사채
✅ 채권을 발행하는 이유?
○ 본드 = 채권
○ 채권은 목적이 있고 발행주체는 국가, 회사, 은행 등이 있습니다.
○ 회사가 투자자로부터 돈을 받고 나중에 회사가 갚을 때 이 채권에 대해서도 회사가 이자를 제공해야 합니다. 이 이자는 회사의 신용등급에 따라서 이자가 달라집니다.
○ 회사의 신용등급이 높으면 투자자의 채권금리와 이자는 낮아지고, 회사의 신용등급이 낮아지면 채권금리와 이자가 높아집니다.
○ 이것은 국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. 국가의 신용등급이 낮으면 그 국가가 발행한 국채도 금리가 높습니다. 그래서 신흥국이나 개발도상국에서 발행한 국채의 금리가 높습니다. 하지만 안전성은 낮습니다.
✅ 주식
○ 회사를 처음 설립할 때 자본금을 모아서 시작합니다. 자본금을 주식이라는 단위로 쪼개서 자본금을 출자한 만큼 주식이라는 증권을 줍니다.
○ 주식 = 회사의 자본금을 구성하는 단위
○ "너에게 이 회사에 대한 소유권이 이만큼 있다!" 를 증명하는 것!
ex)
자본금이 100만원이라고 합시다. 이 100만원을 주식이라는 단위로 쪼개는거에요. 1주를 100원이라고 하고 총 10,000장을 발행하고 여기에 기여한 만큼 주식을 나눠갖는거죠. 이 때 1주 100원을 액면가라고 합니다. 제가 자본금 100만원 중 70만원을 출자했다면 주식 7000주를 get 하는거에요.
○ 이후에 이 주식은 시장에서의 가격이 비싸지거나 싸질 수 있습니다.이 시장에서의 가격을 주가라고 부릅니다. = 시세, 시장가
✅ 채권과 주식의 차이점
○ 채권은 사업이 있을 때 필요하면 발행하지만 주식은 그렇지 않습니다.
○ 회사를 처음 설립할 때 발행한 주식을 구주라고 하고 회사가 상장할 때 보통 주식을 새로 발행하게 되는데 이 주식을 신주, 공모주라고 합니다.
○ 주식을 더 발행하는 또 다른 방법 = 증자 (자본금을 늘린다는 뜻)
✅ 주식, 채권 투자는 어떻게?
○ 주식
1. 시세차익
2. 배당금
○ 채권
1. 만기 이자
2. 시세차익
3. 할인채: 처음 발행할 때부터 채권을 할인된 가격에 사서, 본래 가격을 받고 팔아 차익을 남기기도 합니다.
다음 동영상을 보고 공부한 내용을 작성하였습니다.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UIJj0DzEVDQ&t=280s
'Econom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경제-블록체인] 암호화폐는 돈일까? (4) | 2021.11.26 |
---|---|
[경제] 삼성전자가 6만전자가 된 이유? 중국, 미국의 경제 리스크/스테크플레이션/환율/헝다그룹/셧다운 (2) | 2021.10.12 |
[경제-기본] 우리나라 주식시장과 주가지수 (0) | 2021.10.11 |
[경제] 기준금리 인상, 금리 (1) | 2021.09.29 |
[경제]경제지표-경상수지(국내) (1) | 2021.09.24 |